집현전 학사로서의 윤회-그 이면의 모습을 찾아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8 08:49
본문
Download : 집현전 학사로서의 윤회-그 이면의 모습을 찾아서.hwp
또한, 사학보다는 경학이 우선이라 언급하였으나 그 자신이 사학에 정통하여 history서 편찬에 깊이 관여하였음을 고려하여 볼 때, 경학을 중요시한 윤회의 논의가 사학의 중요성을 간과하였다는 것으로 연…(省略)
순서
윤회는 세종대의 집현전 학사로서, 일반적인 집현전 학사로서의 모습에서 다소 벗어나 있는 인물인 것으로 추측된다. 태종의 억불책의 시행에 따라 이러한 불교의 폐단이 많이 완화된 상황이었으나, 윤회가 불교를 반대하는 논의 또한 경제·윤리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여 그 폐단을 지적하는 측면이 정도전의 배불론과 맞닿아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설명
Download : 집현전 학사로서의 윤회-그 이면의 모습을 찾아서.hwp( 40 )
,경영경제,레포트
윤회는 세종대의 집현전 학사로서, 일반적인 집현전 학사로서의 모습에서 다소 벗어나 있는 인물인 것으로 추측된다된다. 그리하여, 《조선왕조실록》을 통하여 집현전 학사로서의 윤회의 모습을 公·私의 관점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 집현전 학사로서의 윤회-그 이면의 모습을 찾아서경영경제레포트 ,
레포트/경영경제
집현전 학사로서의 윤회-그 이면의 모습을 찾아서
다. 그리하여, 《조선왕조실록》을 통하여 집현전 학사로서의 윤회의 모습을 公·私의 관점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집현전 학사들이 조선초기 관료문인들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을 고려하여 볼 때, 그가 불교에 대하여 개혁적인 입장을 취하였다는 사실이 집현전 학사로서 다소 변별되는 성격적 측면으로 확대되지는 못하겠다.
이런 그가 불교에 대하여 강력하게 주장하였던 것은, 排佛論에서 불교를 강력하게 배척하였던 정도전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보여진다. 고려 말 정치적 혼란으로 불교가 권문세족과 결탁하여 부패하여 사회적으로 많은 폐단을 빚었던 시대적 상황 아래에서 성리학적 기치를 내세워 불교를 배척한 정도전의 입장은 정치적으로는 신흥사대부들이 권문세족을 척결하기 위한 것이었고, 경제적으로는 수취 체제 improvement(개선)을 통하여 국가의 재정을 확보하는 한편, 윤리적으로는 혼탁해진 윤리를 바로잡기 위한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