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수출입통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5 20:40
본문
Download : EDI-수출입통관.hwp
EDI-수출입통관 , EDI-수출입통관감상서평레포트 ,
설명
EDI-수출입통관
Download : EDI-수출입통관.hwp( 39 )
,감상서평,레포트
순서
EDI-수출입통관
EDI에 마주향하여 설명(說明)했습니다.
1) 표준
EDI의 역사(歷史)는 표준의 역사(歷史)라 할 만큼 EDI에서 표준의 역할은 중요하다. EDI 표준은 서로 상이한 업무environment(환경) 및 전산environment(환경) 을 가진 송·수신자간 전자문서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가장 핵심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아
EDI를 이용하기 위하여 고려해야할 표준은 크게 ‘통신표준`과 ‘문서표준`으로 구분되어진다. 통신표준은 일반적인 data(자료)의 전자적인 전송을 위한 규칙으로 반드시 EDI에만 국한되어 사용되는 것은 아닐것이다.
레포트/감상서평






다.
Ⅰ. EDI·················1
1. EDI의 정이
2. EDI의 생성 요인 및 배경
3. EDI의 efficacy
4. EDI의 주요 특징
5. EDI의 구성 요소
6. EDI의 활용분야
7. EDI의 국내 이용 present condition
Ⅱ. 수출입통관··············8
1. 수출통관이란?
2. 수입통관이란?
3. 수출입통관과 EDI
4. 수출입통관 EDI의 기대efficacy
Ⅲ. EDI를 통한 수출입통관 절차의 문제점(問題點)·12
1. 비즈니스적 문제
2. 법률적 문제
3. 계약문제
Ⅳ. 해결 대안··············13
1. 수출입통관 절차의 改善
2. EDI의 법적 문제점(問題點). 계약 문제점(問題點)에 관한 해결 대안
* 참고한 문헌 ······················16
5. EDI 구성요소
EDI는 주문서, 계산서와 같이 기계가 직접 읽고나서 처리할 수 있는 정형화된 문서를 data(자료)의 내용을 표기하는 기호 및 data(자료)의 항목별 표준배열순서에 따른 표준화된 형태로 전자문서 통신매체를 통하여 교환하는 방식이며, 이때 컴퓨터간 혹은 응용 프로그램(program]) 간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종류에 상관없이 처리된다
* EDI이용에 필요한 요소
① 송수신자 간에 교환되어야 할 전자문서 양식 및 코드에 대한 표준,
② 조직 내부의 데이터 파일을 표준에 맞춘 전자문서로 변환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③ 송수신자간에 전자문서 를 전달하기 위한 통신매체
그러나, EDI는 조직의 내부업무를 전산화하는 것이 아니라 독립된 조직간에 정형화 된 data(자료)의 교환을 위한 시스템이므로 조직내부의 전산시스템과는 달리 보안이나 법·제도 등과 같은 요소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 이러한 통신표준 가운데 OSI의 표준으로는 메시지 처리 서비스(MHS:Message Handling System), 파일전송접근관리(FTAM:File Transfer Access and Management)등과 전송제어프로토콜/Internet 프로토콜(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의 범주내에서는 E-Mail의 표준인 단순메일전송 프로토콜/다목적 Internet 메일확장(SMTP/MIME:Simple Mail Transfer Protocol/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 on), 파일전송프로…(To be continued )
EDI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