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고프만의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사회 통제 / 고프만의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사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05:44
본문
Download : 고프만의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사회 통제.hwp
전통적 사회통제 theory(이론)들은 대부분 사회구조를 인간의 외부에 존재하는 객관적 실체로 다루어 왔다. 그는 사회구조의 존재에 대한 의심, 사회 구조의 통제 필요 불가결한 사회적 조건, 사회 구조가 인간 행동에 미치는 메커니즘에 상대하여까지 포괄적인 관심과 의심을 가지고 연구를 했다. 즉 규칙을 깨뜨리는 행위를 막고 규칙을 어겼을 때 제재를 가하고 일탈자를 다시 동조자로 재사회화하는 노력을 사회통제의 메커니즘으로 보았던 것이다. 그러나 단순히 정신질환자들의 통제 방식에 대한 연구에 국한 시킨 것은 아니다. 고프만은 정신 요양원은 사회학적 연구가 깊이 없었던 정신 질환자 집단에 상대하여 본격적으로 연구를 했으며 정신 병원이라는 특수한 사회적 세계 속에서 벌어지고 있는 여러 가지 구체적 상호 작용들을 分析했다. 감옥의 직접적인 기능(범죄자들을 교화시켜 사회의 한 시 민 으로 적응시키는 대의 명분)에 상대하여 의심을 하듯 정신병원의 효능에 상대하여는 고프만은 강하게 부정한다. 정신병원의 진정한 고객은 정신 질환자들 자신이 아...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설명
인문사회 고프만의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사회 통제 / 고프만의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사회
고프만의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사회 통제 고프만은 정신요양원이라는 특수한...
순서





Download : 고프만의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사회 통제.hwp( 74 )
[인문사회] 고프만의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사회 통제 / 고프만의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사회
고프만의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사회 통제 고프만은 정신요양원이라는 특수한...
고프만의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사회 통제 고프만은 정신요양원이라는 특수한 사회적 environment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즉, 정신 질환을 그 사람의 비사회적 행동을 주요 요점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고프만의 연구는 종래의 거시적인 접근 방법에서 벗어나, 실제 통제 상황에서 통제하는 사람들과 통제 받는 사람간의 구체적인 상호작용을 그 分析대상으로 삼았다. 그에게 있어 사회구조는 인간 외부에 존재하는 객관적이고 강압적인 실체라기보다는 인간 내부에서 인간의 주체적인 해석 작용을 통해 행위의 근거가 되는 자원이며, 인간들 간의 구체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끊임없이 재해석 되는 일종의 구조적 과정이다. 고프만의 정신 요양원 연구는 정신 질환자들과 그들 집단에 대한 사회학적 연구의 효시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정신 병자들에 상대하여 고프만은 정신질환이 신경적, 신체적 질병이라기 보다는 ‘상황적으로 부적절한 행동’을 할때 붙여지는 사회적 낙인으로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