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에서 내려진 중재판정의 국내 승인 및 집행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30 04:59
본문
Download : 외국에서 내려진 중재판정의 국내 승인 및 집행에 관하여.hwp
순서
외국에서 내려진 중재판정의 국내 승인 및 집행에 관하여
레포트/의약보건


외국에서 내려진 중재판정의 국내 승인 및 집행요건 및 거부사유에 대해서 살펴보고 관련 판례를 제시하였습니다. 따라서 합의의 당사자가 준거법에 의하여 무능력자라든가 합의가 무효인 경우에는 승인될 수 없다. 우리나라 대법원은 전형적 계약서식 내에 있는 중재조항에 대한 효력을 인정한 바 있으며(대법원 1990.4.10. 89다카20252), 우리나라의 중재법은 제8조 제4항에서 계약이 중재조항을 포함하고 있는 문서를 인용하고 있는 …(省略)
,의약보건,레포트
외국에서내려진중재판정의국내승인및집행에관하여
Download : 외국에서 내려진 중재판정의 국내 승인 및 집행에 관하여.hwp( 34 )
외국에서 내려진 중재판정의 국내 승인 및 집행요건 및 거부사유에 대해서 살펴보고 관련 판례를 제시하였습니다.
1. 근거
2. 승인·집행요건 및 거부사유
3. 승인·집행요건과 관련한 주요 검토사항 및 관련판례
(1) 중재합의
(2) 절차적 공정성
(3) 공서양속
한편 법원은 당사자의 주장이나 직권으로 ①중재판definition 대상이 되는 분쟁이 중재적격을 가지지 아니하는 경우와 ②중재판definition 승인집행이 공존에 반하는 경우에는 그 판definition 승인집행을 거부할 수 있따
3. 승인·집행요건과 관련한 주요 검토사항 및 관련판례
(1) 중재합의
중재는 당사자간에 합의에 의한 분쟁해결이므로 외국판definition 승인을 위해서는 유효한 중재합의가 존재해야 한다.외국에서내려진중재판정의국내승인및집행에관하여 , 외국에서 내려진 중재판정의 국내 승인 및 집행에 관하여의약보건레포트 ,
설명
다.
한편, 중재에 대한 완전한 합의 또는 중재계약의 형태가 아니라 약관에 포함된 중재합의 조항이나 전형적으로 제공되는 계약서식 또는 성약서를 이용한 경우에 이에 포함된 중재조항의 효력을 인정할 것인가가 문제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