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history(역사) ] 통일신라시대의 강마촉지인불좌상(降魔觸印佛坐像)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5 01:04
본문
Download : 강마촉지인불좌상.hwp
Ⅰ. 서론(序論)
강마촉지인불좌상 중 통일신라시대를 중심으로 서술(겉표지미포함) 인터넷검색으로는 보기 힘든 자료
조각수법으로 본다면 단순하면서도 양감(量感)이 강조되던 8세기의 전성기조각이 차차로 평면적인 조각이 되거나 선각(線刻)의 수법으로 간략히 처리되는 變化를 거치면서 점차 신라적인 불상으로 토착화되어 가는 경향을 보여주는 것이다.





3. 무릎 사이의 주름
인터넷검색으로는 보기 힘든 reference(자료)
2. 엄액의(掩腋衣)와 가슴띠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2. 석굴암(石窟庵) 보존상과 그 계열(系列) 촉지인상
1. 통견(通肩)과 우견편단(右肩偏袒)
통일신라시대, 강마촉지인불좌상, 불좌상
강마촉지인불좌상 중 통일신라시대를 중심으로 서술(겉표지미포함)
[불교history(역사) ] 통일신라시대의 강마촉지인불좌상(降魔觸印佛坐像)
설명
1. 군위삼존불(軍威三尊佛)의 본존상(本尊像) - 초기
순서
Ⅲ. 통일신라시대의 대표적 촉지인불상
Download : 강마촉지인불좌상.hwp( 44 )
3. 경주 남산의 촉지인불좌상 - 칠불암의 마애삼존불 본존
Ⅱ. 촉지인불좌상의 유형분류기준
한편 통일신라시대의 좌상형식과 법의(法衣)의 표현을 고찰하여 보면, 7세기 말의 안압지에서 출토된 삼존판불의 본존은 통견(通肩)의 전법륜인좌상이고 8세기 초에는 황복사지탑 출토의 순금제여래입상과 같이 시무외(施無畏)ㆍ촉지(觸地)의 수인(手印)을 보여주는 상이 있따.....(생략)
우리나라의 불상을 살펴보면 각 시대에 따라서 특히 유행하는 형식이 있따 통일신라시대에 유행한 불상형을 자세와 법의(法衣)의 형식에 따라 살펴보면, 대체로 입상 중에는 황복(皇福)사지탑에서 출토된 여래입상이며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금동여래입상과 같이 내의(內衣)의 주름이 두 다리 위에서 좌우대칭형으로 각기 U자형의 옷주름을 형성하는 계통이 있따 이 두 계통의 불입상 중에서 전자의 형식이 먼저 발생한 것 같으나 그 발전과정에서 보면 반드시 선후관계가 있다기보다는 서로 공존하며 제작된 것을 알 수 있따 그리고 이 두 계통들은 각기 여러 변형을 일으키면서 보다 복잡한 형식으로 발전하는 것을 알 수 있따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