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 부정사구의 주어와 통제이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20:49
본문
Download : 20061m_youngamunzangguz.hwp
3. 통제theory(이론)
명시적NP가to부정사의의미상주어 비명시적NP가to부정사의의미상주어 통제이론
다.
명시적NP가to부정사의의미상주어 비명시적NP가to부정사의의미상주어 통제이론 / (영어문장구조론)
Ⅱ 본론
순서
설명
1) PRO의 설정동기
Ⅰ 서론
3) PRO의 해석
to 부정사구의 주어와 통제이론
우선은 to부정사의 의미상 주어를 명시적 NP가 이용되는 경우와 비명시적 NP가 이용되는 경우로 나누어 조사해본 뒤, 비명시적 NP 중 PRO에 관한 사항을 통제theory(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해 보겠다.
2. 비명시적 NP가 to부정사의 의미상주어로 사용되는
경우
② 임의적 통제
언어의 현상 중에서 하나의 문장이 다른 문장 속에 매입되어 있는 문자을 문장보문이라 하는데 이러한 문장보문들 중 앞으로 다루게 될 부정사 보문은 표면구조에 to를 앞에 놓으며 시제와 법조동사가 나타나지 않은 보문으로 모문에 매입되어 모문의 의미를 보충해주는 역할을 한다.
Download : 20061m_youngamunzangguz.hwp( 95 )





2) PRO의 분포와 PRO 정리(arrangement)
2) PRO의 경우
1) NP 흔적
Ⅲ 結論(결론)
① 의무적 통제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2) 예외적 격표시
1) for 도입
명시적NP가to부정사의의미상주어 비명시적NP가to부정사의의미상주어 통제이론 / (영어문장구조론)
1. 명시적 NP가 to부정사의 의미상주어로 사용되는 경우
본 보고서에서는 이러한 부정사 보문에서 특히 의미상 주어의 표현양식에 중점을 두어 문장구조를 분석하면서 의미상 주어의 표현양식 중에 하나인 비명시적 NP인 PRO에 중점을 두어 통제theory(이론)을 적용하여 설명(說明)하도록 하겠다. 부정사 보문은 비록 표면구조는 보기에 간단하고 쉬운 듯 하지만 심층구조로 들어가면 매우 복잡하고 애매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많은 학자들이 변형문법의 관점에서 부정사 보문의 심층구조를 규명하고 여러 가지 변형규칙을 적용하여 심층구조에서 표면구조로 유도되는 과정을 밝히고자 노력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