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언해 해석 (세종어제훈민정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09:47
본문
Download : 훈민정음언해.hwp
2) 자음
나라의 말이 중국(中國)과 달라 문자와 서로 통하지 아니하므로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자기의 뜻을 얻어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으니라.
설명
다. (원문은 생략(省略)하고 해석만을 담았습니다. 1) 서문
자세한 자료(data) 설명(explanation)은 아래 목차와 본문일부를 참조해 주세요
2) 자음
1) 서문
2. 원문 해석
ㅋ 은 어금니 소리이니 쾌 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다.
본 資料는 이것을 해석한 것이다.)
훈민정음을 해석할 때 유용한 자료가 되길 바랍니다.
본문내용
1. 훈민정음과 훈민정음 언해본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ㄱ 은 어금니 소리이니 군 자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으니 나란히 하여 쓰면 규 자 의 처음 펴어 나는 소리와 같다. 자세한 자료 설명은 아래 목차와 본문일부를 참조해 주세요
2. 원문 해석
훈민정음언해 해석 (세종어제훈민정음)
훈민정음이라고 불리는 대상에는 두 가지가 있따 하나는 문자체계로서의 훈민정음이고 다른 하나는 문자체계로서의 훈민정음을 해설한 책으로서 흔히 훈민정음 해례본이라고 불린다.
순서





목차
Download : 훈민정음언해.hwp( 84 )
내가 이것을 불쌍히 여겨 새로 스물 여덟 자를 만드나니 사람마다 쉽게 익히게 하여 날마다 사용함에 편안하게 하고자 하는 따름이다.
훈민정음,훈민정음해석,세종어제훈민정음,세종어제,국문과,국어,언해본,
3) 모음
훈민정음을 해석할 때 유용한 자료(data)가 되길 바랍니다. 그 중 한문본 훈민정음의 예의편만을 국역한 것이 훈민정음 언해본인데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앞선 언해본은 1459 년 (세조 5 년) 에 간행된 월인석보의 책머리에 실려 있는 세종어제훈민정음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