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조직 및 비영리조직에서의 품질경영(TQM)과 자가진단식 평가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30 13:27
본문
Download : 공공조직 및 비영리조직에서의 품질경영(TQM)과 자가진단식 평가방법.hwp
레포트/경영경제
TQM에 대한 기본적인 관념고찰과 함께, 공공조직에서 TQM이 적용되고 있는 實態를 미국의 事例를 통해 논하고, 조직내에서 TQM의 the gist인 품질과 고객우선의 원칙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가를 스스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에 상대하여도 요약했습니다.
TQM은 비영리민간조직인 사회복지기관들에도 적용되고있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정신의료시설, 아동 및 가족복지서비스기관들의 instance(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최재성, 1997). 이들 instance(사례)들은 TQM이 政府(정부)조직구조상의 사회복지기능 분야에서 뿐만아니라 비영리 민간사회복지전달체계에서도 성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아 더하여서, 비영리민간사회복지기관들의 상당수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政府(정부)기관과의 계약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공공부문에서의 폭넓은 TQM 적용은 비영리조직에도 적지않은 파급效果(효과)를 일으킬 수 있으리라 예측하게한다.
다.
설명
공공조직 및 비영리조직에서의 품질경영(TQM)과 자가진단식 평가방법
순서
Download : 공공조직 및 비영리조직에서의 품질경영(TQM)과 자가진단식 평가방법.hwp( 39 )
,경영경제,레포트
%EA%B3%BC%20%EC%9E%90%EA%B0%80%EC%A7%84%EB%8B%A8%EC%8B%9D%20%ED%8F%89%EA%B0%80%EB%B0%A9%EB%B2%95_hwp_01.gif)
%EA%B3%BC%20%EC%9E%90%EA%B0%80%EC%A7%84%EB%8B%A8%EC%8B%9D%20%ED%8F%89%EA%B0%80%EB%B0%A9%EB%B2%95_hwp_02.gif)
%EA%B3%BC%20%EC%9E%90%EA%B0%80%EC%A7%84%EB%8B%A8%EC%8B%9D%20%ED%8F%89%EA%B0%80%EB%B0%A9%EB%B2%95_hwp_03.gif)
%EA%B3%BC%20%EC%9E%90%EA%B0%80%EC%A7%84%EB%8B%A8%EC%8B%9D%20%ED%8F%89%EA%B0%80%EB%B0%A9%EB%B2%95_hwp_04.gif)
%EA%B3%BC%20%EC%9E%90%EA%B0%80%EC%A7%84%EB%8B%A8%EC%8B%9D%20%ED%8F%89%EA%B0%80%EB%B0%A9%EB%B2%95_hwp_05.gif)
%EA%B3%BC%20%EC%9E%90%EA%B0%80%EC%A7%84%EB%8B%A8%EC%8B%9D%20%ED%8F%89%EA%B0%80%EB%B0%A9%EB%B2%95_hwp_06.gif)
공공조직 및 비영리조직에서의 품질경영(TQM)과 자가진단식 평가방법에 대한 자료입니다.
앞서의 논의는 TQM은 기업조직의 범위를 넘어 미국 政府(정부)조직구조에서도 폭넓게 적용되고있으며, 그 效果(효과)도 긍정적으로 평가받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up공공조직및비영리조직에서의품질경영TQM , 공공조직 및 비영리조직에서의 품질경영(TQM)과 자가진단식 평가방법경영경제레포트 ,
up공공조직및비영리조직에서의품질경영TQM
Ⅰ. 서론
Ⅱ. 품질경영(TQM)이란?
2.1. 품질경영(TQM)의 정의(定義)
2.2. 품질경영(TQM)의 등장배경
2.3. 조직관리기법으로서의 품질경영
Ⅲ. 공공조직에서의 TQM 적용reality(실태)
3.1. 공공조직에서의 TQM 적용reality(실태) 와 效果(효과)
3.2. 공공조직혁신의 necessity need과 TQM의 도입
Ⅳ. TQM 추진에 대한 자기진단식 평가기법
Ⅴ. 논의: 한국의 공공조직과 TQM
TQM추진의 效果(효과)에 대상으로하여도 이를 추진중인 연방政府(정부) 산하기관중 60%가 긍정적인 效果(효과)를 보고하고있으며, 또다른 35%의 기관들도 效果(효과)가 없는 것이아니라 시행한지 얼마되지않아 아직 效果(효과)를 판단하기는 시기상조라고 밝히고 있다아 또한, Berman(1995)의 연구에 따르면, 미국내 51개 주政府(정부)의 사회복지국들 가운데 34개 주政府(정부) 사회복지국에서 TQM을 도입하여 추진중이며 생산성향상, 적시성, 서비스의 질적향상, 고객만족, 서비스결과, 비용절감의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밝히고 있다 (최재성, 1997). 더하여서, 이러한 성취수준 뿐만아니라 조직의 내부적 과정에서도 긍정적인 效果(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分析(분석)하였는데, 특히 이해당사자(stakeholder)에 대한 관심제고, 의사결정의(定義) 합리성 향상, 재원부족극복, 의사결정의(定義) 민주성 향상, 품질의 중요성인식 강화 등의 측면에서 TQM의 성과를 평가하였다.
3.2. 공공조직혁신의 necessity need과 TQM의 도입
미국사회에서 공공조직분야도 TQM을 폭넓게 수용하게된 계기는 어떻게 說明(설명) 할 수 있는가? 연방政府(정부)조직 및 주政府(정부)조직, 그리고 비영리조직까지도 기업조직에서 활용하고있는 TQM을 도입하여 적용하게되는 배경을…(투비컨티뉴드 )
공공조직 및 비영리조직에서의 품질경영(TQM)과 자가진단식 평가방법에 대한 資料입니다.TQM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고찰과 함께, 공공조직에서 TQM이 적용되고 있는 실태를 미국의 사례를 통해 논하고, 조직내에서 TQM의 핵심인 품질과 고객우선의 원칙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가를 스스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에 대해서도 정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