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생명Engineering 기술과 산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1 15:43
본문
Download : 한국의 생명공학 기술과 산업.hwp
이는 생명공학육성 기본계획이 추진된 이래 생명공학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관계부처별로 소관 역할 영역분야별 신규사업이 기획되거나 추진되는 등 점차 범국가적인 연구개발 추진이 활성화되고 있기 때문으로 평가되고 있따
동기간(`94-`97) 중 민간부문투자는 약 4,515억원으로 연평균(average) 20.7% 수준의 증가를 보였으나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1조 350억원 계획) 대비 44%수준으로서 크게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94년부터 `97년 말까지 최근 4년간 생명공학에 대한 정부투자는 과학기술부의 신기능생물소재 개발사업등 총 21개사업에서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 , 한국의 생명공학 기술과 산업공학기술레포트 ,
순서
,공학기술,레포트
`94년부터 `97년 말까지 최근 4년간 생명공학에 대한 政府투자는 과학기술부의 신기능생물소재 개발사업등 총 21개사업에서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대비 약 87%인 4,354억원이 투자되었으며 동기간중 연평균(average) 예산 증가율은 47%에 달하고 있따 부처별로는 과학기술부가 약 51%를 투자함으로서 동분야의 연구개발을 주도하였으며 보건복지부 19%, 농림부 18%, 교육부 4.5%, 산업자원부 4.4%, 環境부 1.3%, 해양수산부 0.5% 순으로 투자가 이루어 지고 있따
동기간동안 政府 연구개발예산은 24.6% 증가한데 반하여 생명공학분야는 연평균(average) 48%증가(`94년 536억원 → `97년 1,717억원)하였으며, 政府부처별로보면 사업초기(`94년)에는 과학기술부가 政府의 생명공학분야 투자의 약 64%로 동분야의 연구개발을 주도하였지만 `97년 현재 과학기술부 투자비중이 47.1%로 낮아진 반면에 보건복지부(24.8%), 농림부 (15.9%) 등 관계 부처의 연구개발 활동이 활성화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내 생명공학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는 `94년 이래 매년 20%씩 증가하여 `97년 현재 총 1,400억원 규모에 이르고 있지만 이는 政府투자의 평균(average) 증가율(47%)에 훨씬 못미치는 수준이며, 이로 말미암아 政府대 민간 투자 총액 비교에서 민간투자 비중이 상대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표 2〉政府 부처별 연구개발 투자 총괄
* ( )는 생명공학육성 기본계획에 의한 政府투자 예정금액임
** 자료(data) :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 2단…(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한국의 생명공학 기술과 산업.hwp( 76 )
`94년부터 `97년 말까지 최근 4년간 생명Engineering에 대한 정부투자는 과학기술부의 신기능생물소재 개발사업등 총 21개사업에서 생명Engineering육성기본계획 ...
설명
한국의 생명Engineering 기술과 산업






레포트/공학기술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