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의 자본으로의 전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1 07:03
본문
Download : 화폐의 자본으로의 전환.hwp
이 특수한 상품이 바로 노동력(labour-power) 또는 노동능력(labour-capacity)이다. 장화는 가죽보다 더 큰 가치를 가지지만, 가죽의 가치는 원래 그대로며 가죽은 자신의 가치를 증식시키지도 않았다. …(생략(省略))
레포트/경영경제
다...화폐소유자는 상품을 그 가치대로 구매하여 그 가치대로 판매하여야 하는데, 그러면서도 과定義(정이) 끝에 가서는 자기가 투입한 것보다 더 많은 가치를 끌어내지 않으면 안된다된다.






2. 유통 즉 상품교환에서는 아무런 가치나 잉여가치가 창조되지 않으며 따라서 가치가 자본으로 전환되지 않는다면, (상품소유자들이 상호관련을 맺는... , 화폐의 자본으로의 전환경영경제레포트 ,
2. 유통 즉 상품교환에서는 아무런 가치나 잉여가치가 창조되지 않으며 따라서 가치가 자본으로 전환되지 않는다면, (상품소유자들이 상호관련을 맺는...
순서
,경영경제,레포트
Download : 화폐의 자본으로의 전환.hwp( 74 )
설명
화폐의 자본으로의 전환
2. 유통 즉 상품교환에서는 아무런 가치나 잉여가치가 창조되지 않으며 따라서 가치가 자본으로 전환되지 않는다면, (상품소유자들이 상호관련을 맺는) 유통영역 밖에서 잉여가치가 발생할 수 있는가?
유통 밖에서는 상품소유자는 오직 자기 자신의 상품과 관계를 맺을 뿐이다...이것이 바로 문제의 조건이다`. (208-9쪽)
이 문제의 조건을 公式 으로 표현한다면 다음과 같을 것이다. 그런데 가치의 실체는 인간노동이고 인간노동이 가치를 창조하기 때문에, 어떤 상품을 소비 또는 사용하는 것이 바로 노동하는 것, 즉 가치를 창조하는 것으로 되는 독특한 상품이 존재해야 한다. 즉 유통영역의 외부에서는 화폐 또는 상품이 자본으로 전환되지 않는다. 자본은 유통에서 발생해야 하는 동시에 유통의 외부에서 발생해야 한다. 다시 말해 상품소유자는 자기의 노동으로 가치를 창조할 수 있지만, `스스로 증식하는 가치` 즉 자본을 창조할 수는 없다(207-8쪽).
상품생산자는 다른 상품소유자들과 접촉하지 않고서는 가치를 증식시킬 수 없다.
M---C C`---M`
결국 화폐소유자가 어떤 상품을 유통영역에서 그 가치대로 구매하지만, 그 상품을 소비 또는 사용하는 과정이 가치를 창조하는 과정이고, 더욱이 그 상품의 가치보다 큰 가치를 창조하는 과정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3. `자본은 유통에서 발생할 수도 없고 또 유통의 외부에서 발생할 수도 없다. 만약 가죽으로 장화를 만드는 경우, 장화의 생산에 새로운 노동이 추가되기 때문에, 장화의 가치 = 가죽의 가치 + 새로운 노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