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웅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9 04:23
본문
Download : 조웅전.hwp
또한 조운전의 사건 연결이 비교적 치밀한 것으로 보아 그 작가는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고 보여 진다. 또한 대리전쟁인 번왕정벌의 삽화에서 잘 나타나듯, 이 소설의 작가는 군공을 주인공의 자기실현을 위한 한 역정으로 파악하고 있다
③ 조웅전은 조웅과 장소저의 결연을 쟁동감있게 제시함으로써 발흥하는 계층의 정리(arrangement) 중심 사고를 드러내 주었다.
② 조웅전은 전쟁을 의전으로 정당화하였으되, 전쟁과 민중과의 관계를 그다지 문제삼지 않았다.
조웅전
,감상서평,레포트



작가문제
조웅전은 한자어와 고사를 많이 사용하고 있고 5언.6언 7언의 한시도 삽입하고 있기 때문에 한문 식자충의 전문작가가 지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런데 삽입 한시 5수를 보면 모두 근체시가 아니며 압운에 그다지 주의하지 않았고 수사법도 거의 고려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이 점에서 볼 때, 이들 한시들은 자구나 맞추고 간단한 압운법이나 익혔을 뿐 율시는 지을 수 없었던 인물이 지은 것으로 추측된다 즉 조웅전의 작가는 한시 수업을 온전히 받지 못한, 무인이나 중하인에 속하는 인물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삽입 시가로 가사나 민요조의 운문을 즐겨 쓴 것도 작가가 한시보다 국문시가에 더 친숙해 있던 계층의 인물이었음을 짐작케 한다.
창작시기
조웅전에는 발단부에 범의 입성을 모티브로 쓰고 있는데, 이것은 영조 30년(1754) 5월에 경덕궁에 범이 든 사건이 나주 괘서사건 등에서 병란의 조짐으로 선전된 이후에 전라도 지방에 유포된 호입담을 차용해 온 것으로 보이기에 조웅전은 18세기 말에서 1857년의 정사본이 나오기 이전까지 출현하지 않았나 추측된다
.
작가의 의식
작가의 의식은 작품의 서술양식을 선택하고 주제를 처리하는 방식에서 드러나 있다고 생각된다
① 조웅전은 펀년체 서술양식을 소설기법으로 채택하고 있는데, 사실에의 조회를 회피하고 있는 점에서 볼 때 이 소설의 작가는 독자를 자신과 동일한 계층으로 걸정하였던 듯하다.조웅전 , 조웅전감상서평레포트 ,
Download : 조웅전.hwp( 97 )
순서
조웅전
다.
레포트/감상서평
조웅전의 연구사와 작가문제 및 창작시기, 작가의 의식에 대상으로하여 설명(explanation)했습니다. 그러나 조웅이 위국공주를 사혼처로 맞아들이는 과정을 삽입하여 작가는…(To be continued )
설명
조웅전의 연구사와 작가문제 및 창작시기, 작가의 의식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