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지방(全南地方) 누정(樓亭)의 성격과 기능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9 13:48
본문
Download : 전남지방(全南地方) 누정(樓亭)의 성격과 기능에 관한 연구.hwp
같은 처지에 있는 사람들과의 대화는 값있고 즐겁다. 이 글은 그 일환으로 누definition 사회文化(문화)적 특징(特徵)을 보기로 한 것이다. 즉 전통사회에서의 농촌의 사랑방과 정자를 비교하되 선비의 사랑방과 일꾼의 사랑방을 누정과 모definition 대비definition 으로 비교해 보기로 한 것이다.
그러면 누정은 왜 한국에 많고, 이 나라에 누정文化(문화)를 꽃 피웠는가. 유사한 자연環境(환경)(自然環境)을 갖고, 집단부락을 형성하면서 한국에는 누정이 많은데 다른 나라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가. 누정을 건립할 필요성(必要性)은 무엇이며, 거기에서 무엇이 이루어졌는가.
일찍이 호남文化(문화)연구소(湖南文化硏究所)가 전남지방의 누정조사를 시행하였고, 이를 마무리하면서 전남지방누definition 종합적 연구를 시도(試圖)하였다.
사람은 누구나 모여 대화를 나누며 살기를 바란다. 사랑방은…(drop)
누정에 대하여 알아보고, 전남지방 누定義(정이) 성격과 기능에 관하여 작성한 리포트입니다. 그와같은 생화패턴을 보여준 것이 우리 사회의 겨울의 사랑방이며, 여름의 정자이다. 당초 누정연구의 팀에 참여하면서 누정과 모정과의 관계에서 누정을 보기로 하였다. 한국사회는 어떤 사회인가. 한국인은 무엇을 어떻게 생각하는 사람인가를 아는 방법은 한국인의 가치관을 보면 알 수 있고, 그것은 다시 한국인의 생활양식으로 표현된다 여기서는 그 많은 생활양식, 생활文化(문화) 중 정자와 관련한 생활文化(문화)를 보려한다. 여기서는 정자文化(문화) 중에서도 전자인 누정文化(문화)의 존재양식과 그 특징을 보기로 한다.전남지방全南地方누정樓亭의성격과기능에관한연구 , 전남지방(全南地方) 누정(樓亭)의 성격과 기능에 관한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다.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누정에 대하여 알아보고, 전남지방 누정의 성격과 기능에 관하여 작성한 리포트입니다.
순서
%20%EB%88%84%EC%A0%95(%EF%A5%8C%E4%BA%AD)%EC%9D%98%20%EC%84%B1%EA%B2%A9%EA%B3%BC%20%EA%B8%B0%EB%8A%A5%EC%97%90%20%EA%B4%80%ED%95%9C%20%EC%97%B0%EA%B5%AC_hwp_01.gif)
%20%EB%88%84%EC%A0%95(%EF%A5%8C%E4%BA%AD)%EC%9D%98%20%EC%84%B1%EA%B2%A9%EA%B3%BC%20%EA%B8%B0%EB%8A%A5%EC%97%90%20%EA%B4%80%ED%95%9C%20%EC%97%B0%EA%B5%AC_hwp_02.gif)
%20%EB%88%84%EC%A0%95(%EF%A5%8C%E4%BA%AD)%EC%9D%98%20%EC%84%B1%EA%B2%A9%EA%B3%BC%20%EA%B8%B0%EB%8A%A5%EC%97%90%20%EA%B4%80%ED%95%9C%20%EC%97%B0%EA%B5%AC_hwp_03.gif)
%20%EB%88%84%EC%A0%95(%EF%A5%8C%E4%BA%AD)%EC%9D%98%20%EC%84%B1%EA%B2%A9%EA%B3%BC%20%EA%B8%B0%EB%8A%A5%EC%97%90%20%EA%B4%80%ED%95%9C%20%EC%97%B0%EA%B5%AC_hwp_04.gif)
%20%EB%88%84%EC%A0%95(%EF%A5%8C%E4%BA%AD)%EC%9D%98%20%EC%84%B1%EA%B2%A9%EA%B3%BC%20%EA%B8%B0%EB%8A%A5%EC%97%90%20%EA%B4%80%ED%95%9C%20%EC%97%B0%EA%B5%AC_hwp_05.gif)
%20%EB%88%84%EC%A0%95(%EF%A5%8C%E4%BA%AD)%EC%9D%98%20%EC%84%B1%EA%B2%A9%EA%B3%BC%20%EA%B8%B0%EB%8A%A5%EC%97%90%20%EA%B4%80%ED%95%9C%20%EC%97%B0%EA%B5%AC_hwp_06.gif)
전남지방全南地方누정樓亭의성격과기능에관한연구
Download : 전남지방(全南地方) 누정(樓亭)의 성격과 기능에 관한 연구.hwp( 86 )
전남지방(全南地方) 누정(樓亭)의 성격과 기능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레포트
1. 서언(序言)
2. 누정이란 무엇인가.
3. 누definition 기능과 그 변화
4. 전남지방의 누정상황
5. 화순군의 누정과 남치리(藍峙里)의 남천정(藍川亭)
6. 나주군의 누정과 철야(鐵冶)마을의 만호정(挽湖亭)
7. 결언(結言)
1. 서언
우리 사회, 특히 전남지방은 정자文化(문화)권에 속한 사회이다.
누정은 서구사회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이며, 동양제국에서도 누정이 존재할 수 있는 나라는 china(중국) 과 日本 을 생각할 수 있으나 日本 의 경우 우리의 누정과 유사한 건물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의 누정처럼 일반화 되어있는 것은 결코 아니고, 성격이나 기능에 있어서도 다르며, 특히 中共은 오늘에 있어 누정이 있을 것이라고 기대할 수 없는 나라이다.
정자에는 규모가 큰 기와지붕의 누정(樓亭)과 적은 규모의 초가지붕의 모정(茅亭)이 있다아 누정은 한국의 어디에나 있고, 모정은 호남지방에만 찾아 볼 수 있는 정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