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ste][민법] 공동소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9 15:38
본문
Download : 공동소유.hwp
3. 공유물의 분할
다. 공유자가 그 지분을 포기하거나 상속인 없이 사망한 때에는 그 지분은 다른 공유자에게 각 지분의 비율로 귀속한다(지분의 탄력성; 제267조). 공유부동산이 원인 없이 타인명의로 등기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유자 1인은 단독으로 그의 지분권에 기하여 전체에 대한 말소등기를 청구할 수 없다. 공유자는 그 지분을 처분할 수 있다(제263조). 따라서 다른 공유자의 동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목차]
Download : 공동소유.hwp( 76 )
Ⅰ. 공동소유의 의의
설명
우리 민법이 규정하고 있는 공동소유 형태인 공유, 합유, 총유에 마주향하여 일목요연하게 說明(설명) 하고 있는 글 입니다. 판례에 따르면 이때 공유자 1인은 자기에게 물건 전부의 인도를 청구할 수 있다고 한다.
Ⅱ. 공유
1. 지분
소유권, 공동소유, 공유, 합유, 총유
[민법] 공동소유
Ⅳ. 총유
2. 공유관계
[본문일부]
1. 지분
Ⅱ. 공유
Ⅲ. 합유
공유자는 공유물의 전부를 지분의 비율로 사용-수익할 수 있다(제263조). 즉 전부를 사용할 수 있되, 그 사용,수익은 지분에 의하여 제약된다.
우리 민법이 규정하고 있는 공동소유 형태인 공유, 합유, 총유에 대해서 일목요연하게 설명하고 있는 글 입니다. 그러나 공유물에 관하여 제3자가 침해를 가하고 있는 경우 각 공유자는 지분권에 기한 물권적 청구권으로서 제3자에 대하여 반환청구권 내지 방해배제청구권을 단독으로 행사할 수 있따 방해배제의 청구 및 반환청구가 보존행위에 속하기 때문이다.
순서





물건이 지분에 의하여 수인의 소유로 되는 것을 말한다(제262조 1항). 하나의 물건을 수인이 공동의 소유로 한다는 의사의 합치에 의하여 공유가 성립할 경우 공유자는 공유등기를 하여야 한다(부동산등기법 제44조, 제89조). 공유지분도 등기하여야 하며, 등기하지 않을 경우 그 지분은 균등한 것으로 추정된다(민법 제262조 2항). 법률의 규정에 의해 공유가 성립하는 경우는 상속인이 수인인 경우(제1006조)가 있따
2. 공유관계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각 공유자가 목적물에 대하여 가지는 소유의 비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