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의 생애와 성선설,수양론 및 왕도정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2 20:44
본문
Download : 맹자의 생애와 성선설,수양론 및 왕도정치.ppt
맹자(孟子, B.C. 372-289) 의 인성론 : 성선설 예화
맹자는 ‘우물가에 빠지려는
어린아이를 보면 어느 누구라
하더라도 구하려는 착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 고 강조.
사단(四端)과 사덕(四德)
사덕의 단서[싹]가 되는 인간의 선천적으로 지니고 태어나는 착한 4가지
마음을 사단이라 함.
1.측은지심(惻隱之心) : 남을 사랑하여 측은히 여기는 마음
-`
인(仁)
2.수오지심(羞惡之心) : 불의(不義)를 부끄러워하고 미워하는 마음
-`
의(義)
3.사양지심(辭讓之心) : 서로 양보하고 공경하는 마음
-`
예(禮)
4. 시비지심(是非之心) :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지혜로운 마음
-`
지(智)
사단(四端)
사덕(四德)
맹자(孟子)의 수양론
수양의 필요성(必要性)
-착한 본성에도 불구하고, 후천적 욕심과 물욕(物慾)
입지(立志) : 사단을 키우는 첫 걸음
도덕적 가치에 대한 삶의 의지를 세움
호연지기
- 의로운 행동을 많이 하여 심신에 의(義)가 생김
맹자(孟子)의 정치사상 : 왕도정치(덕의 정치)
왕도정치
패도정치를 비판하고, 덕(德)으로 다스리는 왕도정치를 강조
2. ‘仁’과 ‘義’로 다스리는 정치, 백성과 더불어 동고동락(…(skip)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맹자의 생애와 성선설,수양론 및 왕도정치 , 맹자의 생애와 성선설,수양론 및 왕도정치인문사회레포트 , 맹자 생애와 성선설 수양론 왕도정치
맹자,생애와,성선설,수양론,왕도정치,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맹자의 생애와 성선설,수양론 및 왕도정치.ppt( 28 )






맹자의 생애와 성선설,수양론 및 왕도정치
맹자의 생애와 성선설,수양론 및 왕도정치
다.
성선설 - 맹자
Contents
맹자(孟子)의 생애
맹자의 인성론 : 성선설
맹자의 인성론 : 성선설 예화
사단, 사덕
맹자의 수양론
맹자의 정치적 사상(왕도정치)
맹자(孟子, B.C. 372-289)
생애
전국시대 추나라 태생으로 이름은 맹가(孟軻)
공자보다 약 170여년 뒤에 출생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맹자(孟子, B.C. 372-289) 의 인성론 : 성선설(性善說)
성선설(性善說) definition
: 인간은 선천적으로 착한 본성을 지니고 태어난다.
맹자(孟子, B.C. 372-289) 의 인성론 : 성선설 예화
맹자는 ‘우물가에 빠지려는
어린아이를 보면 어느 누구라
하더라도 구하려는 착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 고 강조.
사단(四端)과 사덕(四德)
사덕의 단서[싹]가...
성선설 - 맹자
Contents
맹자(孟子)의 생애
맹자의 인성론 : 성선설
맹자의 인성론 : 성선설 예화
사단, 사덕
맹자의 수양론
맹자의 정치적 사상(왕도정치)
맹자(孟子, B.C. 372-289)
생애
전국시대 추나라 태생으로 이름은 맹가(孟軻)
공자보다 약 170여년 뒤에 출생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맹자(孟子, B.C. 372-289) 의 인성론 : 성선설(性善說)
성선설(性善說) definition
: 인간은 선천적으로 착한 본성을 지니고 태어난다.
불인지심(不忍之心)
: 즉, 남의 고통과 불행을 보면 차마 견딜 수 없는,
그대로 지나쳐 버리지 못하는 착한 마음을 태어날 때부터 지닌다.
불인지심(不忍之心)
: 즉, 남의 고통과 불행을 보면 차마 견딜 수 없는,
그대로 지나쳐 버리지 못하는 착한 마음을 태어날 때부터 지닌다.